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이 대마도 정벌을 쓰고자 합니다.
대마도 정벌은 우리가 아는 건 세종 1년에 정벌한 겁니다.
하지만, 고려 말기에 한번, 조선 때 2번 정벌을 갑니다.
1차 대마도 정벌
자세한 기록은 없습니다.
창왕 2년 박위가 대마도로 출전합니다.
"고려사"에는 병력, 규모도 나와 있지 않고, 전투 경과도 없습니다. 그냥 1차 대마도 정벌을 갔다는 기록만 있습니다. 하지만 대마도 정벌을 가서 적선 3백 척과 민가를 모조리 불살랐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2차 대마도 정벌
2차 정벌은 태조 5년 문하 우정승 김사형을 병마 처치사로 임명하고 정벌을 합니다.
이 기록도 자세한 기록은 없습니다. 아마도 개국 초반이라 기록이 없는 거 같습니다.
3차 대마도 정벌
우리가 아는 건 3차 대마도 정벌입니다. 대마도를 복속시키게 됩니다.
태종 18년에 대마도주 종정성(소 사다모리)이 후계를 이어갑니다. 이때 대마도는 흉년이 들어서 명나라로 가던 배가 조선을 약탈하게 됩니다. 이를 계기로 대마도 정벌은 다시 거론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세종 1년 태종은 상왕으로 대마도 정벌을 하자고 합니다.
세종에게 모든 건 넘겨주고 군사력은 본인 가지고 있었던 겁니다.
태종의 주도 아래 영의정 유정현을 삼도 도통사, 삼군 도제찰사에 이종무, 삼군 도절제사의 최윤덕 그 외 등등을 임명하고 경상도, 전라도, 충천도의 3도에 있는 병선 227척과 병사 1만 7천 명을 거느리고 출병을 명했습니다.
1419년 음력 6월 19일 거제도 남쪽에서 출발 하서 20일에 대마도에 도착했습니다.
일단 대마도주에게 항복을 권했습니다. 하지만, 답장이 없기에 왜구를 수색하여 100여 명을 참수하고, 2천여 호의 가옥을 불태웠습니다.
그리고 131명의 명나라 포로를 찾아냈습니다.
29일에는 70여 호를 불태우고 명나라 포로 15명, 조선인 포로 8명을 구출했습니다.
그리고 음력 7월 3일 철수 명령이 내려져서 거제도로 철수했습니다. 그리고 병조판서 조말생으로 하여금 대마도 도주에게 항복 권고문을 보냈습니다.
결국 대마도 도주는 항복을 하였습니다.
3차 원정은 조선군 180명이 전사하였으나, 대마도 도주는 항복을 하였으며 대마도 정벌은 승리하였고, 대마도 도주는 신하의 예로 섬길 것을 맹세받고 경상도의 일부로 복속 하기를 청하였습니다.
그리고 대마도 정벌을 해서 얻은 건 왜구의 침탈을 방지하였고, 일본인들로 하여금 무역을 활성화하는 효과도 있었습니다.
'한국사를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장? 우리나라의 노부를 산에 버리는 문화가 있다고? (0) | 2021.07.28 |
---|---|
대마도(쓰시마)는 조선 땅이였습니다. (0) | 2021.07.20 |
발해건국 천문령 전투 - 나라를 세우느냐, 아니면 못 세우느냐 갈림길이 된 전투 (0) | 2021.07.06 |
임진왜란 칠천량해전 패배 후 명령해전 (0) | 2021.07.03 |
한국사 3대 대첩-한산도대첩 (0) | 2021.07.02 |